• 건설DB
    • 기업DB
    • 현장DB
    • 공사DB
    • 입찰DB
    • 수주DB
    • 평판DB
    • 뉴스DB
    • 스마트건설DB
  • 산군세일즈
  • 건설정보
  • 요금안내
  • 산군뉴스 구독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침수·싱크홀, 호우특보 속 안전한 시공사 찾는 법은?

사상하단선 침수 속 안전한 시공사 찾기 표지
 

📢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에서 호우특보가 내려진 직후, 침수와 싱크홀 사고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밤, 집중폭우로 인해 공사 구간이 물에 잠기며 긴급 배수작업이 진행됐는데요. 과거에도 같은 구간에 여러 차례 싱크홀 사고가 발생해 시민들의 불안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는 부실한 차수공법과 시공 관리 소홀이 지목됐는데요. 이처럼 사고가 반복되는 상황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믿을 수 있는 시공사를 찾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사상하단선 침수 피해를 설명하고, 안전한 시공사를 찾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침수 피해는? 
  2. 침수·싱크홀 사고, 이번이 처음일까? 
  3. 호우특보에도 안전한 시공사, 어떻게 찾을까? 
 
 

 

1.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침수 피해는? 

 
지난 14일, 부산에는 호우특보가 내려졌습니다. 밤새 쏟아진 많은 비로 인해 도시철도 공사 구간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는데요.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사상구는 193㎜, 사하구는 178㎜ 등 구별로 170㎜ 이상 폭우가 기록됐습니다. 이에 따라 오후 6시 호우주의보가 내려졌고, 다음날 오전 4시에야 해제되었는데요. 13일 밤 11시쯤, 사상역 내부로 빗물이 들어와 교통공사에서 30분간 배수 작업을 진행하였죠.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 침수 모습 (출처= 부산소방재난본부)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 침수 모습 (출처= 부산소방재난본부)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 침수 모습 (출처= 부산소방재난본부) 
 
하지만 14일 새벽 1시,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으로 빗물이 폭포처럼 쏟아지며 또다시 침수가 발생했는데요. 긴급 배수작업이 이뤄졌고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 부산교통공사 측은 “해당 공사구간은 상습 침수지대로, 폭우에 빗물이 인근 빈 공간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는데요. 구조물 공사는 이미 완료돼 공사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사DB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
 
 

2. 침수·싱크홀 사고, 이번이 처음일까? 

 
사상~하단선은 2호선 사상역에서 하단역까지 이어지는 총 6.9km 구간입니다. 총 7개 정류장이 신설되며, 2026년 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죠. 하지만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지반 문제가 잦았습니다. 2023년에만 3차례, 2024년엔 8차례 땅꺼짐이 발생했죠. 올해도 벌써 3건이 발생한 상황입니다.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싱크홀' 검색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싱크홀' 검색 
 
특히 지난해 9월, 사상~하단선 2공구 구간에서 싱크홀이 생기며 트럭 2대가 8m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도 있었는데요. 당시 부산시는 부실한 *차수공법과 집중호우가 복합적인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4월에도 가로 5m, 세로 3m 크기의 대형 싱크홀이 또 발생했죠. 사전 신고 덕분에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시민들은 반복되는 침하 사고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 차수공법이란? 
물의 흐름을 막아 외부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공법인데요. 이는 건축 구조물이나 지하 굴착 작업 시 안정성을 확보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호우특보에도 안전한 시공사, 어떻게 찾을까? 

 
부산시는 반복된 지반 침하와 침수 사고에 대해 특별감사를 실시했습니다. 감사 결과, 시공사의 부실한 차수벽 시공 관리 소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는데요. 이에 따라 시는 10건의 시정조치와 11억 5900만원의 공사비 감액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해당 시공사에 벌점을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제 중요한 건, 앞으로 어떤 시공사가 안전하게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일이겠죠? 산업의역군DB를 활용해 안전한 시공사 찾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산업의역군 홈페이지에 로그인/회원가입합니다. 

 
산업의역군 로그인/회원가입 화면
 산업의역군 로그인/회원가입 화면
 

 2. 공사DB 검색창에 ‘지반 보강’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결과, 지반 보강 이력을 가진 시공사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는데요. 해당 시공사가 성공적으로 공사를 마쳤는지, 사고 발생 여부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겠죠. 과거 사고 경력이 있는 시공사라면, 빠르게 검토해 넘어감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지반보강' 검색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지반보강' 검색 

 

3. 다음은 '배수 개선'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결과, 배수관련 공사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데요. 침수 공사에 적합한 배수펌프, 보강재를 납품하는 자재사라면, 빠르게 납품전략을 세워 영업을 진행할 수 있겠습니다.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배수 개선' 검색
산업의역군 공사DB 화면-'배수 개선' 검색 
 
사상하단선은 반복된 침수와 싱크홀로 시민들의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안전한 시공사를 찾고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하는 게 중요하겠죠. 
 
📢 산업의역군DB를 활용하면, 관련 시공 이력을 빠르게 분석하고, 믿을 수 있는 기업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의 파악이야말로, 성공하는 전략의 지름길입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수 만건의 건설데이터, 지금 무료로 확인하세요.
 
공사정보배너
산업의역군 무료가입하고, 침수 보강 공사 기업 확인하기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공유하기

추천 콘텐츠

이런 질문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