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DB
    • 기업DB
    • 현장DB
    • 공사DB
    • 입찰DB
    • 수주DB
    • 평판DB
    • 뉴스DB
    • 스마트건설DB
  • 산군세일즈
  • 건설정보
  • 요금안내
  • 산군뉴스 구독

부산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관리하기: 명지동, 대평동, 송정동, 우동

부산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관리하기: 명지동, 대평동, 송정동, 우동

 

AI 확산과 데이터 처리 수요 증가에 따라 데이터센터 시장이 급성장하며,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산업의역군의 현장DB 기능을 통해 부산광역시의 실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을 확인·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각 현장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부산광역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하는 방법
    1.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
    2.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
    3.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
    4.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 데이터센터
  2. 관심 있는 데이터센터 현장 관리하는 방법

 


 

1. 부산광역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하는 방법

 

먼저 아래 배너를 통해 산업의역군에 접속한 후 로그인해주세요.

 

배너 클릭하여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배너 클릭하여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현장DB’ 클릭
‘현장DB’ 클릭

 

산업의역군에 접속했다면, 왼쪽 메뉴바에 있는 ‘현장DB’를 클릭해주세요.

 

현장DB의 다양한 검색 조건
현장DB의 다양한 검색 조건

 

현장DB에서는 지역, 건축단계, 건축허가/승인일, 착공일, 사용승인/검사일, 면적, 용도, 허가구분, 구조, 설계사 등 다양한 검색 조건을 제공하고 있어, 원하는 현장리스트만 한눈에 뽑아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죠. 전체 데이터 수는 무려 82만 건에 달하죠.

 

지역-‘부산광역시 전체’ 선택
지역-‘부산광역시 전체’ 선택

 

그러면 부산광역시의 현장만 확인하기 위해, 먼저 지역에서 ‘부산광역시 전체’를 선택해줄게요.

 

검색어-‘데이터센터’ 입력
검색어-‘데이터센터’ 입력

 

그리고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만 확인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해줍니다. 허가구분은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신축’이 기본값이므로 저는 따로 해제해줬으니 이 점 참고해주세요.

 

부산광역시 데이터센터 건설현장 리스트
부산광역시 데이터센터 건설현장 리스트

 

그러면 검색조건에 맞는 현장리스트가 3초 만에 검색결과로 나와요. 그러면 한 현장씩 찬찬히 살펴볼까요?

 

 

1-1.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엘코델타시티지구 공공청사 6블록’ 건 클릭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엘코델타시티지구 공공청사 6블록’ 건 클릭

 

현장리스트에서 현장명을 클릭하면 오른쪽에 해당 현장에 대해 자세히 볼 수 있는 상세 현장 창이 뜨니 참고해주세요.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진행단계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진행단계

 

가장 먼저 명지동 3025번지 일원인 에코델타시티 공공청사 6블록에 지어지는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를 살펴볼까요? 2024년 3월 7일에 건축허가가 난 이후로, 2024년 7월 12일에 착공하여 계속 공사를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건물의 주용도는 교육연구시설로, 연면적은 약 3,158㎡입니다.

해당 데이터센터는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에 핵심 기반시설로서, 헬스케어 신산업 및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지원하며 친환경·지능형 도시 구현에 기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로 미래지향적인 스마트시티 발전을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에요.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진행단계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진행단계

 

시공/설계/감리/건축주를 하나씩 살펴볼게요. 시공사는 한수산업개발, 설계사는 건축사사무소노션, 감리사는 중앙엔지니어링, 건축주는 부산광역시청입니다. 각 회사별로 대표자명과 전화번호도 확인할 수 있어요.

 

설계사 건축사사무소노션 기업정보
설계사 건축사사무소노션 기업정보

 

회사명을 클릭하면 새 창을 통해 자세한 기업정보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동별/층별개요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동별/층별개요

 

동별/층별 개요도 확인해보았는데요. 건축면적은 1,232㎡, 용적률 산정 연면적은 3,158㎡입니다. 철근콘크리트구조로 건설되며, 승강기는 총 1대를 보유하고 있네요.

 

 

1-2.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 조감도(출처: CCGI)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 조감도(출처: CCGI)

 

두번째로 살펴볼 데이터센터는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평동1가 160-1번지에 위치한 인터넷 데이터센터입니다. 옛 STX조선소 부지이자 현 마스텍 남항 조선소에 위치할 예정이며, 초대형 AI 맞춤형 데이터센터로서 80MW 전력 규모로 계획되어 있어요. 사업비는 약 1조 원의 규모입니다.

해당 사업은 창해개발이 시행하며, 싱가포르 투자기업인 CCGI이 투자사로서 자금 조달을 맡았습니다. 설계는 AI 서버 호스팅 설계에 최적인 SID건축사사무소가 맡았으며, 해저 광케이블 연결을 통해 최적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해요.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진행단계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진행단계

 

2022년 12월에 건축허가 이후, 2024년 하반기에 인허가 절차를 마무리했고, 2025년 중 PFV 설립과 시공사 선정을 진행한 뒤 착공에 들어갈 계획인데요. 실제 착공은 2025년 하반기에 이루어질 예정이며, 완공 목표는 2028년 상반기라고 합니다.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현장지도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현장지도

 

현장DB를 통해 현장의 일반/위성 지도와 로드뷰도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요. 사업의 부지와 인근 환경을 한번에 살펴볼 수 있네요.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기본개요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기본개요

 

대지면적은 11,339㎡, 연면적은 36,917㎡, 건축면적은 6,668㎡, 용적률 산정 연면적은 30,117㎡, 건폐율은 58.81%, 용적률은 256.6%입니다. 공장용지 부지에 지어지며, 건물의 주용도는 방승통신시설이네요.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기본개요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기본개요

 

승용승강기와 함께 주구조, 지붕구조, 층별 면적까지 확인해보았습니다.

 

 

1-3.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진행단계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진행단계

 

세번째로 살펴볼 데이터센터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의 1711-4번지 일대에 지어지는 송정동 데이터센터입니다. 비교적 최근인 2025년 3월 11일에 건축허가가 났고, 주용도는 방송통신시설입니다. 삼우씨엠이 건설 프로젝트 사업관리(PCM 용역)를 맡아 진행하고 있어요.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현장지도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현장지도

 

송정동 데이터센터는 서부산권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입지로서, 이미 녹산사업공단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입주가 활발한 지역에 위치하는데요. 이를 곧 현장지도와 로드뷰로도 직접 확인할 수 있죠.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기본개요
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기본개요

 

대지면적은 6,596㎡, 연면적은 42,055㎡, 건축면적은 3,921㎡, 용적률 산정 연면적은 42,055㎡입니다. 또한 건폐율은 59.45%, 용적률은 637%이에요.

 

 

1-4.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데이터센터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 데이터센터 실물 사진(출처: Digital Edge DC)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 데이터센터 실물 사진(출처: Digital Edge DC)

 

마지막으로 살펴볼 데이터센터 현장은 해운대구 우동 1453번지, 센텀시티 지역에 위치한 디지털엣지코리아의 PUS1 데이터센터 증축 현장입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디지털엣지코리아가 운영하는 데이터센터로, 국내 유일의 케이블랜딩역(CLS) 통합 데이터센터이자, 서울-부산 이중화, 국제망(해저케이블) 다이렉트 연결 등의 특징을 갖고 있죠. 또한 설계의 경우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가 맡았답니다.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데이터센터-진행단계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데이터센터-진행단계

 

증축 공사의 건축허가는 2024년 7월에 났고, 연면적은 14,072㎡로 확인되네요.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데이터센터-현장지도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데이터센터-현장지도

 

센텀시티 내 수영강을 옆에 끼고 있는 입지로, 이미 신축이 완료된 건물이다 보니 로드뷰로 건물 외관까지 확인됩니다.

 

 

2. 관심 있는 데이터센터 현장 관리하는 방법

 

이처럼 데이터센터 개발이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현장만 따로 묶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면 훨씬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하겠죠. 특히 사업 타당성 검토, 입지 분석, 경쟁사 동향 파악 등 실무 목적에 따라 특정 현장을 반복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관심 있는 현장들을 그룹화해 관리할 수 있다면 정말 편리할 텐데요.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현장DB의 ‘관심 현장’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체크박스 체크 후 ‘관심현장으로 추가’ 클릭
체크박스 체크 후 ‘관심현장으로 추가’ 클릭

 

관심현장으로 관리하고 싶은 현장이 있다면, 리스트의 맨 왼쪽의 체크박스를 누르고 ‘관심현장으로 추가’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부산 데이터센터’ 그룹 추가하기
‘부산 데이터센터’ 그룹 추가하기

 

관심현장으로 추가하려면 먼저 그룹을 지정해줘야 하는데요. 저는 ‘부산데이터센터’라는 그룹을 새로 추가해보았어요.

 

그룹 선택 후 ‘이동하기’ 클릭
그룹 선택 후 ‘이동하기’ 클릭

 

그런 다음 새로 만든 그룹을 선택하고 ‘이동하기’를 누르면 끝이에요.

 

관심현장 탭-‘부산 데이터센터’ 현장리스트
관심현장 탭-‘부산 데이터센터’ 현장리스트

 

이제 관심현장으로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단 메뉴바의 ‘관심현장’ 탭으로 들어가주었습니다. 여러 관심현장 그룹 중 방금 만들었던 ‘부산 데이터센터’를 선택해주었어요. 아까 관심현장으로 추가해놓은 현장들이 잘 조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앞으로는 특정 여러 현장을 반복적으로 살펴봐야 할 때, 이 관심현장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엑셀 다운로드’ 기능을 이용해 엑셀 파일로 관리해도 좋아요.

 

‘엑셀 다운로드’ 클릭 후 그룹명 클릭
‘엑셀 다운로드’ 클릭 후 그룹명 클릭

 

상단 오른쪽의 ‘엑셀 다운로드’를 누르고, 다운로드할 그룹을 선택하면 되는데요.

 

관심현장 엑셀 다운로드 결과
관심현장 엑셀 다운로드 결과

 

관심현장 수가 많을수록 엑셀로 관리하기에 정말 편리하겠죠? 관심현장 엑셀 다운로드 기능은 한 주에 한 번씩만 사용 가능하니 이 점도 꼭 유의해주세요.

 

 

 

본 글에서는 강서구 명지동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 영도구 대평동 인터넷데이터센터,강서구 송정동 데이터센터, 해운대구 우동 디지털엣지코리아 PUS1데이터센터, 이렇게 부산광역시의 총 4곳의 데이터센터 건설현장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데이터센터 시장의 빠른 성장 속에서, 개별 건설 현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분명히 중요한 경쟁력요소입니다. 산업의역군의 현장DB를 활용해 원하는 지역의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을 손쉽게 검색하고, 관심 있는 현장만 따로 그룹화해 체계적으로 관리해보세요.

 

배너 클릭하여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배너 클릭하여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관련 콘텐츠 보러가기

전국 지식산업센터 건설현장 찾기 - 시공/설계/감리/건축주 상세정보 확인하는 방법

인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관리하기: 청천동, 도화동 래플스, 원창동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공유하기

추천 콘텐츠

이런 질문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