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월 31일,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시공능력평가 결과가 발표되었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흔히 ‘2군 건설사’라고 불리는 중견 건설사들의 도급순위와 기업 정보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건설사를 1군, 2군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유자격자명부제)’에 따릅니다. 이 제도는 2023년 7월 10일 개정안을 기준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시공능력평가액에 따라 건설사를 7개 등급으로 나누고 있는데요.
규정상 공사 규모에 적합한 등급의 유자격 명부에 등록된 업체 가운데, 입찰 공고나 설명서에 제시된 조건을 충족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건설사의 규모와 역량에 맞춰 입찰 기회를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장치로, 등급별로 공사 배정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범위 안에서는 같은 등급의 업체만 대표사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등급 | 시공능력평가액(토건, 토목, 건축) | 토목공사 | 건축공사 |
1 | 4,200억 원 이상 | 1,400억 원 이상 | 1,200억 원 이상 |
2 | 1,400억 원 ~ 4,200억 원 미만 | 900억 원 ~ 1,400억 원 미만 | 800억 원 ~ 1,200억 원 미만 |
3 | 700억 원 ~ 1,400억 원 미만 | 570억 원 ~ 900억 원 미만 | 520억 원 ~ 800억 원 미만 |
4 | 350억 원 ~ 700억 원 미만 | 370억 원 ~ 570억 원 미만 | 340억 원 ~ 520억 원 미만 |
5 | 200억 원 ~ 350억 원 미만 | 200억 원 ~ 370억 원 미만 | 210억 원 ~ 340억 원 미만 |
6 | 120억 원 ~ 200억 원 미만 | 140억 원 ~ 200억 원 미만 | 130억 원 ~ 210억 원 미만 |
7 | 고시금액 ~ 120억 원 미만 | 고시금액 ~ 140억 원 미만 | 고시금액 ~ 130억 원 미만 |
산군의 기업DB에서 2025년 시공능력평가를 직접 확인해볼까요?
먼저 아래 배너를 클릭해 기업DB에 접속해주세요.
그다음 좌측 상단 메뉴에서 ‘시공능력’을 선택하시면,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은 물론 주요 업종별 순위까지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7월 31일 발표된 시공능력평가 기준으로, 2군 건설사는 도급순위 73위부터 171위 사이에 속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이 구간의 건설사들은 시공능력평가액이 대략 1,400억 원 이상 ~ 4,200억 원 미만에 해당하는데요.
2군 건설사는 상위권인 1군 건설사에 비해 규모나 브랜드 인지도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 시공 기술력이나 운영 능력에서는 결코 뒤지지 않죠. 주로 지역 기반의 건설사들이 많으며, 중대형 규모의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1위와 2위를 차지한 동아지질과 엘티삼보는 부산에 위치한 건설사이며 주로 준설공사 등에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시공능력평가 도급순위 73위~100위에 포함된 2군 건설사 리스트입니다.
그 외 101위~171위 기업 정보가 궁금하다면, 기업DB에서 ‘시공능력평가’ 메뉴를 통해 직접 확인해보세요.
순위 | 회사명 | 평가액 | 지역순위 |
73위 | (주)동아지질 | 4,122억원 | 부산광역시 3위 |
74위 | 엘티삼보(주) | 4,080억원 | 부산광역시 4위 |
75위 | (주)금성백조주택 | 3,884억원 | 대전광역시 3위 |
76위 | (주)미래도건설 | 3,799억원 | 광주광역시 7위 |
77위 | 금광기업(주) | 3,782억원 | 전라남도 5위 |
78위 | 삼부토건(주) | 3,723억원 | 서울특별시 33위 |
79위 | (주)원건설 | 3,603억원 | 충청북도 2위 |
80위 | 강산건설(주) | 3,519억원 | 서울특별시 34위 |
81위 | 에이스건설(주) | 3,467억원 | 서울특별시 35위 |
82위 | 풍림산업(주) | 3,417억원 | 서울특별시 36위 |
83위 | (주)흥화 | 3,384억원 | 경상북도 2위 |
84위 | (주)서해종합건설 | 3,359억원 | 서울특별시 37위 |
85위 | 보광종합건설(주) | 3,281억원 | 광주광역시 8위 |
86위 | 대방산업개발(주) | 3,265억원 | 서울특별시 38위 |
87위 | 이수건설(주) | 3,261억원 | 서울특별시 39위 |
88위 | 동아건설산업(주) | 3,258억원 | 서울특별시 40위 |
89위 | 씨에이이앤씨(주) | 3,083억원 | 경기도 16위 |
90위 | 요진건설산업(주) | 3,082억원 | 강원특별자치도 2위 |
91위 | 삼환기업(주) | 3,061억원 | 서울특별시 41위 |
92위 | (주)화성개발 | 3,059억원 | 대구광역시 4위 |
93위 | 신원종합개발(주) | 2,907억원 | 경기도 17위 |
94위 | (주)비에스산업 | 2,855억원 | 전라남도 6위 |
95위 | 디에스종합건설(주) | 2,744억원 | 광주광역시 9위 |
96위 | 영진종합건설(주) | 2,735억원 | 경상북도 3위 |
97위 | 우암건설(주) | 2,647억원 | 경기도 18위 |
98위 | (주)한양건설 | 2,644억원 | 경기도 19위 |
99위 | (주)이안알앤씨 | 2,602억원 | 서울특별시 42위 |
100위 | 위본건설(주) | 2,592억원 | 전라남도 7위 |
2군 건설사에 해당하는 동아지질, 엘티삼보, 금성백조주택 등의 기업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콘텐츠에서 각 건설사의 재무 현황, 주요 현장 정보, 보유 특허 등 상세 기업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기업 정보 찾는 법, 자세히 알아보기]
👉🏻 현대건설(주) 매출액, 영업이익, 건설현장, 도급순위, 수주 등
동아지질은 보링, 그라우팅, 파일공사 등 지반 공정에 특화된 전문건설업체인데요. 국내는 물론 홍콩 국제공항 제3활주로, 싱가포르와 카타르 지하철 같은 해외 대형 프로젝트에서도 활약해온 기업이죠. 2025년에는 보링·그라우팅·파일공사 도급순위 1위에 오르며 업계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는데요. 현재도 동북아 LNG Hub터미널, 부산 강서지역전력구, 울산 전기차 신공장 부대토목 등 100건이 넘는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지하구조물과 인프라 분야에서는 업계 최고 수준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죠.
[관련 콘텐츠 추천]
>>> 2025년 수중공사 시공능력평가 순위 발표 -엘티삼보, 지에이이노더스, 동아지질
>>> 2025년 보링·그라우팅·파일공사 시공능력평가 순위 발표 - 동아지질, 엘티삼보, 특수건설 등
엘티삼보는 도로, 철도, 항만 등 대형 SOC사업에 집중하며 토목 기반의 복합 프로젝트를 수행해온 기업으로, 토공사 부문에서도 기술력과 시공 경험 모두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엘티삼보는 도로 및 철도 기반 인프라 시공에 강점을 지닌 기업으로, 포장공사 분야에서도 탁월한 시공 기술과 품질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속도로, 도시고속화도로, 국도 재포장 등 다양한 공공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신뢰를 쌓아왔습니다.
현재는 경북 울진에서 수중취수터널 공사를 진행 중이며, 공정률은 31.3%로 집계되고 있습니다.서울 중구 봉래동과 경북 구미, 전북 완주 등 건축허가 후 착공 단계에 접어든 현장이 다수 확보된 상태인데요. 특히 도심과 지방을 가리지 않고 전국 단위로 기초공사 기반을 넓혀가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죠.
[관련 콘텐츠 추천]
>>> 2025년 부산 수중공사업체 순위 - 흥우산업, 웅진개발, 엘티삼보
>>> 2025년 포장공사 시공능력평가 순위 발표 - 엘티삼보, 금영토건, 상봉이엔씨 등
금성백조주택은 대전에 본사를 둔 중견 건설사로, ‘예미지’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2023년에는 도급순위 49위를 기록했지만, 2025년에는 75위로 다소 하락했습니다. 다만 브랜드 파워만큼은 여전히 강력해서, 지난해 11월 경기도 화성 비봉 예미지 2차 전 가구 계약을 100% 완료했죠. 이어 2025년 7월에도 평택 고덕 A48블록 예미지를 단기간 내 완판시켰는데요. 앞으로도 분양 물량 성과에 따라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관련 콘텐츠 추천]
>>> 대전건설사 찾기 - 파인건설/계룡건설산업/다우건설/크로스건설/금성백조주택/태원건설산업
>>> 고덕신도시 프로젝트를 수주한 건설사는 어디일까?
🥈오늘은 2025년 시공능력평가에서 2군 건설사로 분류된 주요 기업들을 살펴봤는데요. 각자 전문 분야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죠. 다음에는 또 다른 순위권 기업들을 산군에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산군 콘텐츠 저작권 안내
모든 산군 콘텐츠는 관련 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무단 전재, 재배포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