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DB
    • 기업DB
    • 현장DB
    • 공사DB
    • 입찰DB
    • 수주DB
    • 평판DB
    • 뉴스DB
    • 스마트건설DB
  • 산군세일즈
  • 건설정보
  • 요금안내
  • 산군뉴스 구독

인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관리하기: 청천동, 도화동 래플스, 원창동

인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관리하기: 청천동, 도화동 래플스, 원창동

 

AI 확산과 데이터 처리 수요 증가에 따라 데이터센터 시장이 급성장하며,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산업의역군의 현장DB 기능을 통해 인천 지역의 실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을 확인·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각 현장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인천광역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하는 방법
    1. 부평 청천동 데이터센터(DL이앤씨, SK에코플랜트)
    2. 도화동 래플스 데이터센터
    3. 원창동 데이터센터
  2. 관심 있는 데이터센터 현장 관리하는 방법

 


 

1. 인천광역시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하는 방법

 

먼저 아래 링크를 통해 산업의역군에 접속한 후 로그인해주세요.

>>>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현장DB’, ‘현장검색’ 클릭
‘현장DB’, ‘현장검색’ 클릭

 

산업의역군에 접속했다면, 왼쪽 메뉴바에 있는 ‘현장DB’, 상단 메뉴바에 있는 ‘현장검색’을 순서대로 클릭해주세요.

 

현장DB의 다양한 검색 조건
현장DB의 다양한 검색 조건

 

현장DB에서는 다양한 검색 조건을 제공하고 있어, 원하는 현장리스트만 한눈에 뽑아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죠.

 

지역-‘인천광역시 전체’ 선택
지역-‘인천광역시 전체’ 선택

 

먼저 지역에서 ‘인천광역시 전체’를 선택해줄게요.

 

검색어-’데이터센터’ 입력
검색어-’데이터센터’ 입력

 

그리고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만 확인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해줍니다. 허가구분은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신축’이 기본값이니 참고해주세요.

 

인천광역시 데이터센터 신축 건설현장 리스트
인천광역시 데이터센터 신축 건설현장 리스트

 

그러면 검색조건에 맞는 현장리스트가 3초 만에 검색결과로 나와요. 그러면 한 현장씩 찬찬히 살펴볼까요?

 

 

1-1. 부평 청천동 데이터센터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414-2번지 현장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414-2번지 현장

 

현장리스트에서 각 건을 클릭하면 오른쪽의 새로운 창에서 자세한 현장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414-2번지 일대, 부평국가산업단지 내에도 데이터센터가 건설될 예정인데요. DL이앤씨가 시공을 맡았고, 설계는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는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축주는 부평 IDC투자회사와 와이드크릭자산운용주식회사입니다.

2023년 4월 건축 허가 이후, 올해 2025년 3월 31일 현장 공정이 본격화되기 시작했죠. 현재 DL이앤씨는 한창 공사 진행 중에 있으며, 2025년 하반기에는 준공하여 내년에 임차사 입주하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414-2번지 현장-동별/층별 개요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414-2번지 현장-동별/층별 개요

 

동별/층별 개요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건축면적은 4,679㎡, 연면적은 55,769㎡, 용적률 산정 연면적은 38,289㎡로, 승용승강기를 3대 포함한 9층짜리 건물로 건축될 예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부평 데이터센터(SEL2) 사업 투시도 및 조감도(출처: SK에코플랜트)
부평 데이터센터(SEL2) 사업 투시도 및 조감도(출처: SK에코플랜트)

 

DL이앤씨가 시공하는 데이터센터는 청천동의 부평국가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건물로, 인근 422번지에는 SK에코플랜트의 데이터센터 신축 프로젝트 또한 진행되는데요. SK에코플랜트와 싱가포르 디지털엣지(Digital Edge)의 합작법인인 DCK1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국내 최대급 하이퍼스케일(120MW) 상업용 데이터센터가 조성될 예정이죠.

국내 데이터센터 최초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가 도입되며, 친환경 분산전원 체계 구축으로 탄소절감 및 ‘그린 데이터센터’가 실현될 계획입니다.

 

SK에코플랜트 공사리스트
SK에코플랜트 공사리스트

 

SK에코플랜트의 공사리스트에서도 부평데이터센터 공사 건들이 확인되네요. 신축 공사는 98.3%의 진행률로 거의 마무리되었고, 2차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2. 도화동 래플스 데이터센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현장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현장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일대에는 산업은행의 자회사인 KDB인프라자산운용의 시행 하에 IT용량 56MW 급의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건설될 예정입니다. 2023년 4월 18일 공식 인허가를 마쳤고, 이후 부지 매입, 금융 유치, 임차인 확보에 중점을 두고 착공을 기다리는 상태입니다. 현대차증권, IBK투자증권, 산업은행 등 본PF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죠.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현장-현장지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현장-현장지도

 

래플스 데이터센터는 기존의 공업·산업단지 내에 위치해 있는데요. 수도권 내 데이터센터 인허가가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도화동 부지는 희소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최근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져 지역사회 이슈에 놓여 있기도 합니다. 데이터센터 건설 부지 인근에 6개 아파트단지와 학교가 밀접해 있어, 전자파, 열, 정전 가능성 등 환경·안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죠. 미추홀구와 주민들, 시행사까지 충분한 소통과 검증을 통해 합의해나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현장-기본개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765-18번지 현장-기본개요

 

또한 기본개요를 통해 연면적 58,899㎡, 대지면적 17,016㎡, 건축면적 10,895㎡, 용적률 산정 연면적 58,597㎡, 건폐율 64.03%, 용적률 344.37% 인 것을 확인했어요.

 

 

1-3. 원창동 데이터센터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381-73번지 현장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381-73번지 현장

 

인천광역시 서구 원찬동 381-73번지에는 시행사 청라IDC PFV의 주관 하에 데이터센터가 신축되는데요. 청라 IDC PFV는 ‘이도’의 자회사로, 본래 토지 소유주였던 HJ중공업이 자산 매각으로 해당 부지를 넘기면서 이도가 개발에 착수하게 된 것이죠. 신한투자증권, 다올투자증권 등 국내 주요 금융사에서 PF를 조달하여 사업을 운영 중이며, 개발 규모가 매우 크기에 유동화증권(ABS) 발행과 투자 유치가 개발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2023년 8월 8일에 인천광역시로부터 공식 건축허가를 받은 이래로 계속 공사 진행 중에 있어요.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381-73번지 현장-현장지도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381-73번지 현장-현장지도

 

네이버와 구글에서 제공하는 지도 상으로도 건축 현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381-73번지 현장-기본개요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381-73번지 현장-기본개요

 

연면적 46,116㎡, 대지면적 7,120㎡, 건축면적 3,730㎡, 건폐율 52.38%, 용적률 445.85% 임을 기본개요를 통해 확인했습니다.

 

 

2. 관심 있는 데이터센터 현장 관리하는 방법

 

이처럼 데이터센터 개발이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현장만 따로 묶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면 훨씬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하겠죠. 특히 사업 타당성 검토, 입지 분석, 경쟁사 동향 파악 등 실무 목적에 따라 특정 현장을 반복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관심 있는 현장들을 그룹화해 관리할 수 있다면 정말 편리할 텐데요.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현장DB의 ‘관심 현장’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관심현장으로 추가’ 클릭
‘관심현장으로 추가’ 클릭

 

관심현장으로 관리하고 싶은 현장이 있다면, 리스트의 맨 왼쪽의 체크박스를 누르고 ‘관심현장으로 추가’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룹 선택하여 ‘이동하기’ 클릭
그룹 선택하여 ‘이동하기’ 클릭

 

관심현장으로 추가하려면 먼저 그룹을 지정해줘야 하는데요. ‘데이터센터’라는 그룹을 선택한 후, ‘이동하기’ 버튼을 눌러주면 끝이에요. 만약 기존에 만들어둔 그룹이 없다면, 새 그룹을 만들어서 추가한 후 이용해주세요.

 

‘관심현장’ 클릭
‘관심현장’ 클릭

 

이제 관심현장으로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해볼까요? 상단 메뉴바의 ‘관심현장’ 탭으로 들어가주세요.

 

관심현장 리스트
관심현장 리스트

 

그러면 가장 먼저 최근 검색한 현장 리스트가 조회됩니다. 어제 조회한 현장을 다시 보고 싶을 때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니 꼭 참고하세요. 이제 방금 현장을 추가한 ‘데이터센터’ 그룹을 클릭해줄게요.

 

‘데이터센터’ 그룹 관심현장 리스트
‘데이터센터’ 그룹 관심현장 리스트

 

제가 관심현장으로 등록한 건설현장 건들이 모두 잘 모여 있네요. 앞으로는 특정 여러 현장을 반복적으로 살펴봐야 할 때, 이 관심현장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엑셀 다운로드’ 기능을 이용해 엑셀 파일로 관리해도 좋아요.

 

엑셀 다운로드할 그룹 선택
엑셀 다운로드할 그룹 선택

 

다운로드할 그룹을 선택하고 ‘엑셀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관심현장 엑셀 다운로드
관심현장 엑셀 다운로드

 

관심현장 수가 많을수록 엑셀로 관리하기에 정말 편리하겠죠?

 

 

데이터센터 시장의 빠른 성장 속에서, 개별 건설 현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하나의 중요한 경쟁력요소가 될 수 있어요. 산업의역군의 현장DB를 활용해 원하는 지역의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을 손쉽게 검색하고, 관심 있는 현장만 따로 그룹화해 체계적으로 관리해보세요.

 

배너 클릭하여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배너 클릭하여 산업의역군 바로가기

 


 

관련 콘텐츠 보러가기

AI 데이터센터, 스마트 HVAC 솔루션 - 신성이엔지

경기도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확인·관리하기: 안산 성곡동 시화국가산단, 용인 덕성리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공유하기

추천 콘텐츠

이런 질문도 있어요!